프로그래머스 기초문제

[프로그래머스 기초문제] Day 13 리스트(배열)

Devleoper_yh 2025. 3. 4. 23:58
반응형

1. n 번째 원소부터

정수 리스트 num_list와 정수 n이 주어질 때, n 번째 원소부터 마지막 원소까지의 모든 원소를 담은 리스트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2 ≤ num_list의 길이 ≤ 30
  • 1 ≤ num_list의 원소 ≤ 9
  • 1 ≤ n  num_list의 길이

입출력 예

num_list n result
[2, 1, 6] 3 [6]
[5, 2, 1, 7, 5] 2 [2, 1, 7, 5]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2, 1, 6]의 세 번째 원소부터 마지막 원소까지의 모든 원소는 [6]입니다.

입출력 예 #2

  • [5, 2, 1, 7, 5]의 두 번째 원소부터 마지막 원소까지의 모든 원소는 [2, 1, 7, 5]입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num_list:[Int], _ n:Int) -> [Int] {
    // dropFirst(n - 1): n번째 원소부터 가져오기 위해 n-1개의 원소를 제거
    return Array(num_list.dropFirst(n - 1))
}

https://developer.apple.com/documentation/swift/string/dropfirst(_:)

 

dropFirst(_:) | Apple Developer Documentation

Returns a subsequence containing all but the given number of initial elements.

developer.apple.com


2. 순서 바꾸기

정수 리스트 num_list와 정수 n이 주어질 때, num_list를 n번째 원소 이후의 원소들과 n 번째까지의 원소들로 나눠 n 번째 원소 이후의 원소들을 n 번째까지의 원소들 앞에 붙인 리스트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2 ≤ num_list의 길이 ≤ 30
  • 1 ≤ num_list의 원소 ≤ 9
  • 1 ≤ n  num_list의 길이

입출력 예

num_list n result
[2, 1, 6] 1 [1, 6, 2]
[5, 2, 1, 7, 5] 3 [7, 5, 5, 2, 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2, 1, 6]에서 첫 번째 이후의 원소는 [1, 6]이고 첫 번째까지의 원소는 [2]입니다. 두 리스트를 이어 붙이면 [1, 6, 2]가 됩니다.

입출력 예 #2

  • [5, 2, 1, 7, 5]에서 세 번째 이후의 원소는 [7, 5]이고 세 번째까지의 원소는 [5, 2, 1]입니다. 두 리스트를 이어 붙이면 [7, 5, 5, 2, 1]가 됩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num_list: [Int], _ n: Int) -> [Int] {
    let firstNum = num_list.prefix(n) // n번째까지의 원소들
    let secondNum = num_list.dropFirst(n) // n번째 이후의 원소들
    return Array(secondNum) + Array(firstNum) // 순서 변경 후 반환
}

3. 왼쪽 오른쪽

문자열 리스트 str_list에는 "u", "d", "l", "r" 네 개의 문자열이 여러 개 저장되어 있습니다. str_list에서 "l"과 "r" 중 먼저 나오는 문자열이 "l"이라면 해당 문자열을 기준으로 왼쪽에 있는 문자열들을 순서대로 담은 리스트를, 먼저 나오는 문자열이 "r"이라면 해당 문자열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있는 문자열들을 순서대로 담은 리스트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l"이나 "r"이 없다면 빈 리스트를 return합니다.


제한사항

  • 1 ≤ str_list의 길이 ≤ 20
  • str_list는 "u", "d", "l", "r" 네 개의 문자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str_list result
["u", "u", "l", "r"] ["u", "u"]
["l"]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r"보다 "l"이 먼저 나왔기 때문에 "l"의 왼쪽에 있는 문자열들을 담은 리스트인 ["u", "u"]를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2

  • "l"의 왼쪽에 문자열이 없기 때문에 빈 리스트를 return합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str_list: [String]) -> [String] {
    for (index, str) in str_list.enumerated() {
        if str == "l" {
            return Array(str_list[..<index]) // l의 왼쪽 요소 반환
        } else if str == "r" {
            return Array(str_list[(index+1)...]) // r의 오른쪽 요소 반환
        }
    }
    return [] // l 또는 r이 없는 경우 빈 리스트 반환
}

4. n 번째 원소까지

정수 리스트 num_list와 정수 n이 주어질 때, num_list의 첫 번째 원소부터 n 번째 원소까지의 모든 원소를 담은 리스트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2 ≤ num_list의 길이 ≤ 30
  • 1 ≤ num_list의 원소 ≤ 9
  • 1 ≤ n  num_list의 길이 ___

입출력 예

num_list n result
[2, 1, 6] 1 [2]
[5, 2, 1, 7, 5] 3 [5, 2, 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2, 1, 6]의 첫 번째 원소부터 첫 번째 원소까지의 모든 원소는 [2]입니다.

입출력 예 #2

  • [5, 2, 1, 7, 5]의 첫 번째 원소부터 세 번째 원소까지의 모든 원소는 [5, 2, 1]입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num_list: [Int], _ n: Int) -> [Int] {
    return Array(num_list.prefix(n))
}

5. n개 간격의 원소들

정수 리스트 num_list와 정수 n이 주어질 때, num_list의 첫 번째 원소부터 마지막 원소까지 n개 간격으로 저장되어있는 원소들을 차례로 담은 리스트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5 ≤ num_list의 길이 ≤ 20
  • 1 ≤ num_list의 원소 ≤ 9
  • 1 ≤ n ≤ 4

입출력 예

num_list n result
[4, 2, 6, 1, 7, 6] 2 [4, 6, 7]
[4, 2, 6, 1, 7, 6] 4 [4, 7]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4, 2, 6, 1, 7, 6]에서 2개 간격으로 저장되어 있는 원소들은 [4, 6, 7]입니다.

입출력 예 #2

  • [4, 2, 6, 1, 7, 6]에서 4개 간격으로 저장되어 있는 원소들은 [4, 7]입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num_list: [Int], _ n: Int) -> [Int] {
    // 0부터 num_list.count까지 n 간격으로 인덱스를 생성
    return stride(from: 0, to: num_list.count, by: n)
        // 생성된 인덱스를 활용하여 해당 위치의 원소를 가져옴
        .map { num_list[$0] }
}

Day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