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기초문제

[프로그래머스 기초문제] Day 15 리스트(배열), 문자열

Devleoper_yh 2025. 3. 6. 20:16
반응형

1. 조건에 맞게 수열 변환하기 1

정수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arr의 각 원소에 대해 값이 50보다 크거나 같은 짝수라면 2로 나누고, 50보다 작은 홀수라면 2를 곱합니다. 그 결과인 정수 배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1 ≤ arr의 길이 ≤ 1,000,000
    • 1 ≤ arr의 원소의 값 ≤ 100

입출력 예

arr result
[1, 2, 3, 100, 99, 98] [2, 2, 6, 50 ,99, 49]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1, 3은 50 미만의 홀수 이므로 2를 곱하고, 100, 98은 50 이상의 짝수이므로 2로 나눕니다.
  • 나머지 값들은 변경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바꾸지 않습니다.
  • 따라서 [2, 2, 6, 50, 99, 49]를 return 합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arr:[Int]) -> [Int] {
    return arr.map { num in
        if 50 <= num && num % 2 == 0 {
            return num / 2
        } else if num < 50 && num % 2 == 1 {
            return num * 2
        } else {
            return num
        }
    }
}

2. 조건에 맞게 수열 변환하기 2

정수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arr의 각 원소에 대해 값이 50보다 크거나 같은 짝수라면 2로 나누고, 50보다 작은 홀수라면 2를 곱하고 다시 1을 더합니다.

이러한 작업을 x번 반복한 결과인 배열을 arr(x)라고 표현했을 때, arr(x) = arr(x + 1)인 x가 항상 존재합니다. 이러한 x중 가장 작은 값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단, 두 배열에 대한 "="는 두 배열의 크기가 서로 같으며, 같은 인덱스의 원소가 각각 서로 같음을 의미합니다.


제한사항

  • 1 ≤ arr의 길이 ≤ 1,000,000
    • 1 ≤ arr의 원소의 값 ≤ 100

입출력 예

arr result
[1, 2, 3, 100, 99, 98] 5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위 작업을 반복하면 다음과 같이 arr가 변합니다.
반복 횟수 arr
0 [1, 2, 3, 100, 99, 98]
1 [3, 2, 7, 50, 99, 49]
2 [7, 2, 15, 25, 99, 99]
3 [15, 2, 31, 51, 99, 99]
4 [31, 2, 63, 51, 99, 99]
5 [63, 2, 63, 51, 99, 99]
6 [63, 2, 63, 51, 99, 99]

반복 횟수arr

  • 이후로 arr가 변하지 않으며, arr(5) = arr(6)이므로 5를 return 합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arr: [Int]) -> Int {
    var x = 0 // 반복 횟수 저장
    var current = arr // 현재 배열 상태
    
    while true {
        var next = current
        var changed = false // 변화 여부 확인
        
        for i in 0..<current.count {
            if current[i] >= 50 && current[i] % 2 == 0 {
                next[i] = current[i] / 2 // 50 이상인 짝수는 2로 나눈다
            } else if current[i] < 50 && current[i] % 2 == 1 {
                next[i] = current[i] * 2 + 1 // 50 미만인 홀수는 2를 곱하고 1을 더한다
            }
            
            if next[i] != current[i] {
                changed = true // 변경 표시
            }
        }
        
        if !changed {
            return x // 변화가 없으면 반복 횟수 반환
        }
        
        current = next // 다음 배열을 현재 배열로 업데이트
        x += 1 // 반복 횟수 증가
    }
}

3. 1로 만들기

정수가 있을 때, 짝수라면 반으로 나누고, 홀수라면 1을 뺀 뒤 반으로 나누면, 마지막엔 1이 됩니다. 예를 들어 10이 있다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1이 됩니다.

  • 10 / 2 = 5
  • (5 - 1) / 2 = 2
  • 2 / 2 = 1

위와 같이 3번의 나누기 연산으로 1이 되었습니다. 

정수들이 담긴 리스트 num_list가 주어질 때, num_list의 모든 원소를 1로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나누기 연산의 횟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3 ≤ num_list의 길이 ≤ 15
  • 1 ≤ num_list의 원소 ≤ 30

입출력 예

num_list result
[12, 4, 15, 1, 14] 1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12는 3번, 4는 2번, 15는 3번, 1은 0번, 14는 3번의 연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총 11번의 연산이 필요합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num_list: [Int]) -> Int {
    var count = 0 // 총 나누기 연산 횟수를 저장할 변수
    
    for num in num_list {
        var n = num
        while n > 1 {
            if n % 2 == 0 {
                n /= 2 // 짝수일 경우 반으로 나눈다
            } else {
                n = (n - 1) / 2 // 홀수일 경우 1을 빼고 반으로 나눈다
            }
            count += 1 // 나누기 연산 횟수 증가
        }
    }
    // 모든 원소를 1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총 나누기 연산 횟수 반환
    return count
}

4. 길이에 따른 연산

정수가 담긴 리스트 num_list가 주어질 때, 리스트의 길이가 11 이상이면 리스트에 있는 모든 원소의 합을 10 이하이면 모든 원소의 곱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2 ≤ num_list의 길이 ≤ 20
  • 1 ≤ num_list의 원소 ≤ 9
  • num_list의 원소를 모두 곱했을 때 2,147,483,647를 넘는 입력은 주어지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num_list result
[3, 4, 5, 2, 5, 4, 6, 7, 3, 7, 2, 2, 1] 51
[2, 3, 4, 5] 12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리스트의 길이가 13이므로 모든 원소의 합인 51을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2

  • 리스트의 길이가 4이므로 모든 원소의 곱인 120을 return합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num_list: [Int]) -> Int {
    if num_list.count >= 11 {
        return num_list.reduce(0, +) 
    } else {
        return num_list.reduce(1, *)
    }
}

5. 원하는 문자열 찾기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myString과 pat이 주어집니다. myString의 연속된 부분 문자열 중 pat이 존재하면 1을 그렇지 않으면 0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단, 알파벳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분하지 않습니다.


제한사항

  • 1 ≤ myString의 길이 ≤ 100,000
  • 1 ≤ pat의 길이 ≤ 300
  • myString과 pat은 모두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입니다.

입출력 예

myString pat return
AbCdEfG aBc 1
aaAA aaaaa 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AbCdEfG"의 0~2번 인덱스의 문자열은 "AbC"이며, 이는 pat인 "aBc"와 같습니다. 따라서 1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 myString의 길이가 pat보다 더 짧기 때문에 myString의 부분 문자열 중 pat와 같은 문자열이 있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0을 return 합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myString: String, _ pat: String) -> Int {
    //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으므로 모두 소문자로 변환하여 비교
    let lowerMyString = myString.lowercased()
    let lowerPat = pat.lowercased()
    
    return lowerMyString.contains(lowerPat) ? 1 : 0 // 부분 문자열 포함 여부 확인
}

Day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