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기초문제

[프로그래머스 기초문제] Day 19 문자열, 리스트(배열)

Devleoper_yh 2025. 3. 13. 00:38
반응형

1. 세 개의 구분자

임의의 문자열이 주어졌을 때 문자 "a", "b", "c"를 구분자로 사용해 문자열을 나누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주어진 문자열이 "baconlettucetomato"라면 나눠진 문자열 목록은 ["onlettu", "etom", "to"] 가 됩니다.

문자열 myStr이 주어졌을 때 위 예시와 같이 "a", "b", "c"를 사용해 나눠진 문자열을 순서대로 저장한 배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단, 두 구분자 사이에 다른 문자가 없을 경우에는 아무것도 저장하지 않으며, return할 배열이 빈 배열이라면 ["EMPTY"]를 return 합니다.


제한사항

  • 1 ≤ myStr의 길이 ≤ 1,000,000
    • myStr은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 입니다.

입출력 예

myStr result
"baconlettucetomato" ["onlettu", "etom", "to"]
"abcd" ["d"]
"cabab" ["EMPTY"]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문제 설명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 "c" 이전에는 "a", "b", "c" 이외의 문자가 없습니다.
  • "c" 이후에 문자열 "d"가 있으므로 "d"를 저장합니다.
  • 따라서 ["d"]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3

  • "a", "b", "c" 이외의 문자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저장할 문자열이 없습니다.
  • 따라서 ["EMPTY"]를 return 합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myStr: String) -> [String] {
    // 문자열을 a, b, c 문자를 기준으로 나누기
    let result = myStr.split { ["a", "b", "c"].contains(String($0)) }.map(String.init)
    
    // 결과 배열이 비어 있다면 EMPTY 반환, 그렇지 않으면 나눈 문자열 반환
    return result.isEmpty ? ["EMPTY"] : result
}

2. 배열의 원소만큼 추가하기

아무 원소도 들어있지 않은 빈 배열 X가 있습니다. 양의 정수 배열 ar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arr의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원소를 보면서 원소가 a라면 X의 맨 뒤에 a를 a번 추가하는 일을 반복한 뒤의 배열 X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1 ≤ arr의 길이 ≤ 100
  • 1 ≤ arr의 원소 ≤ 100

입출력 예

arr result
 [5, 1, 4] [5, 5, 5, 5, 5, 1, 4, 4, 4, 4]
[6, 6] [6, 6, 6, 6, 6, 6, 6, 6, 6, 6, 6, 6]
[1] [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예제 1번에 대해서 a와 X를 나타내보면 다음 표와 같습니다.
a X
  []
5 [5, 5, 5, 5, 5]
1 [5, 5, 5, 5, 5, 1]
4 [5, 5, 5, 5, 5, 1, 4, 4, 4, 4]
따라서 [5, 5, 5, 5, 5, 1, 4, 4, 4, 4]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 예제 2번에 대해서 a와 X를 나타내보면 다음 표와 같습니다. 
a X
  []
6 [6, 6, 6, 6, 6, 6]
6 [6, 6, 6, 6, 6, 6, 6, 6, 6, 6, 6, 6]
따라서 [6, 6, 6, 6, 6, 6, 6, 6, 6, 6, 6, 6]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3

  • 예제 2번에 대해서 a와 X를 나타내보면 다음 표와 같습니다. 
a X
  []
1 [1]
따라서 [1]을 return 합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arr: [Int]) -> [Int] {
    var X: [Int] = [] // 결과를 저장할 배열 X
    
    // arr의 요소를 하나씩 확인하며 X에 추가
    for a in arr {
        X.append(contentsOf: Array(repeating: a, count: a))
    }
    
    return X
}

3. 빈 배열에 추가, 삭제하기

아무 원소도 들어있지 않은 빈 배열 X가 있습니다. 길이가 같은 정수 배열 arr과 boolean 배열 flag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flag를 차례대로 순회하며 flag[i]가 true라면 X의 뒤에 arr[i]를 arr[i] × 2 번 추가하고, flag[i]가 false라면 X에서 마지막 arr[i]개의 원소를 제거한 뒤 X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1 ≤ arr의 길이 = flag의 길이 ≤ 100
  • arr의 모든 원소는 1 이상 9 이하의 정수입니다.
  • 현재 X의 길이보다 더 많은 원소를 빼는 입력은 주어지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arr flag result
[3, 2, 4, 1, 3] [true, false, true, false, false] [3, 3, 3, 3, 4, 4, 4, 4]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예제 1번에서 X의 변화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i flag[i] arr[i] X
      []
0 true 3 [3, 3, 3, 3, 3, 3]
1 false 2 [3, 3, 3, 3]
2 true 4 [3, 3, 3, 3, 4, 4, 4, 4, 4, 4, 4, 4]
3 false 1 [3, 3, 3, 3, 4, 4, 4, 4, 4, 4, 4]
4 false 3 [3, 3, 3, 3, 4, 4, 4, 4]
따라서 [3, 3, 3, 3, 4, 4, 4, 4]를 return 합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arr: [Int], _ flag: [Bool]) -> [Int] {
    var X: [Int] = [] // 결과를 저장할 배열 X
    
    for (i, isTrue) in flag.enumerated() {
        if isTrue {
            // flag[i]가 true라면 arr[i]를 arr[i] * 2 번 추가
            X.append(contentsOf: Array(repeating: arr[i], count: arr[i] * 2))
        } else {
            // flag[i]가 false라면 X의 마지막 arr[i]개의 원소를 제거
            X.removeLast(arr[i])
        }
    }
    
    return X
}

4. 배열 만들기 6

0과 1로만 이루어진 정수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arr를 이용해 새로운 배열 stk을 만드려고 합니다.

i의 초기값을 0으로 설정하고 i가 arr의 길이보다 작으면 다음을 반복합니다.

  • 만약 stk이 빈 배열이라면 arr[i]를 stk에 추가하고 i에 1을 더합니다.
  • stk에 원소가 있고, stk의 마지막 원소가 arr[i]와 같으면 stk의 마지막 원소를 stk에서 제거하고 i에 1을 더합니다.
  • stk에 원소가 있는데 stk의 마지막 원소가 arr[i]와 다르면 stk의 맨 마지막에 arr[i]를 추가하고 i에 1을 더합니다.

위 작업을 마친 후 만들어진 stk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단, 만약 빈 배열을 return 해야한다면 [-1]을 return 합니다.


제출 답안

func solution(_ arr: [Int]) -> [Int] {
    var stk: [Int] = [] // 결과 배열
    
    var i = 0
    while i < arr.count {
        if stk.isEmpty {
            // stk이 비어 있다면 arr[i] 추가
            stk.append(arr[i])
        } else if stk.last == arr[i] {
            // stk의 마지막 원소가 arr[i]와 같다면 제거
            stk.removeLast()
        } else {
            // stk의 마지막 원소가 arr[i]와 다르면 추가
            stk.append(arr[i])
        }
        i += 1 // i 증가
    }
    
    return stk.isEmpty ? [-1] : stk
}

5. 무작위로 K개의 수 뽑기

랜덤으로 서로 다른 k개의 수를 저장한 배열을 만드려고 합니다. 적절한 방법이 떠오르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범위 내에서 무작위로 수를 뽑은 후, 지금까지 나온적이 없는 수이면 배열 맨 뒤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만들기로 합니다.

이미 어떤 수가 무작위로 주어질지 알고 있다고 가정하고, 실제 만들어질 길이 k의 배열을 예상해봅시다.

정수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문제에서의 무작위의 수는 arr에 저장된 순서대로 주어질 예정이라고 했을 때, 완성될 배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단, 완성될 배열의 길이가 k보다 작으면 나머지 값을 전부 -1로 채워서 return 합니다.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arr: [Int], _ k: Int) -> [Int] {
    var result: [Int] = [] // 결과 배열
    
    for num in arr {
        if !result.contains(num) { // 중복이 아닐 경우 추가
            result.append(num)
        }
        if result.count == k { // k개의 숫자를 채우면 종료
            break
        }
    }
    
    // k보다 길이가 짧다면 -1로 채우기
    while result.count < k {
        result.append(-1)
    }
    
    return result
}

Day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