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뒤에서 5등 위로
정수로 이루어진 리스트 num_list가 주어집니다. num_list에서 가장 작은 5개의 수를 제외한 수들을 오름차순으로 담은 리스트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6 ≤ num_list의 길이 ≤ 30
- 1 ≤ num_list의 원소 ≤ 100
입출력 예
num_list | result |
[12, 4, 15, 46, 38, 1, 14, 56, 32, 10] | [15, 32, 38, 46, 56]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12, 4, 15, 46, 38, 1, 14, 56, 32, 10]를 정렬하면 [1, 4, 10, 12, 14, 15, 32, 38, 46, 56]이 되고, 앞에서 부터 6번째 이후의 수들을 고르면 [15, 32, 38, 46, 56]가 됩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num_list: [Int]) -> [Int] {
guard num_list.count > 5 else { return [] } // 리스트의 길이가 5 이하라면 빈 배열 반환
let sortedList = num_list.sorted() // 오름차순 정렬
let result = Array(sortedList.dropFirst(5)) // 가장 작은 5개 요소 제거
return result
}
2. 전국 대회 선발 고사
0번부터 n - 1번까지 n명의 학생 중 3명을 선발하는 전국 대회 선발 고사를 보았습니다. 등수가 높은 3명을 선발해야 하지만, 개인 사정으로 전국 대회에 참여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어 참여가 가능한 학생 중 등수가 높은 3명을 선발하기로 했습니다.
각 학생들의 선발 고사 등수를 담은 정수 배열 rank와 전국 대회 참여 가능 여부가 담긴 boolean 배열 attendance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전국 대회에 선발된 학생 번호들을 등수가 높은 순서대로 각각 a, b, c번이라고 할 때 10000 × a + 100 × b + c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3 ≤ rank의 길이 = attendance의 길이 ≤ 100
- rank[i]는 i번 학생의 선발 고사 등수를 의미합니다.
- rank의 원소는 1부터 n까지의 정수로 모두 서로 다릅니다.
- attendance[i]는 i번 학생의 전국 대회 참석 가능 여부를 나타냅니다.
- attendance[i]가 true라면 참석 가능, false면 참석 불가능을 의미합니다.
- attendance의 원소 중 적어도 3개는 true입니다.
입출력 예
rank | attendance | result |
[3, 7, 2, 5, 4, 6, 1] | [false, true, true, true, true, false, false] | 20403 |
[1, 2, 3] | [true, true, true] | 102 |
[6, 1, 5, 2, 3, 4] | [true, false, true, false, false, true] | 50200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예제 1번에서 1등은 6번 학생이지만 전국 대회에 참석 불가능하므로 넘어갑니다. 2등은 2번 학생이고 전국 대회에 참석 가능하므로 1순위로 선발됩니다. 3등은 0번 학생이고 전국 대회에 참석 불가능 하므로 넘어갑니다. 4등과 5등은 각각 4번, 3번 학생이고 두 학생 모두 전국 대회에 참석 가능하므로 각각 2순위, 3순위로 선발됩니다. 3명을 선발하였으므로 6등과 7등은 확인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10000 × 2 + 100 × 4 + 3 = 20403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 예제 2번에서 1, 2, 3등은 각각 0번, 1번, 2번 학생이고 세 학생 모두 전국 대회에 참석 가능하므로 각각 1순위, 2순위, 3순위로 선발됩니다. 따라서 10000 × 0 + 100 × 1 + 2 = 102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3
- 예제 3번에서 1, 2, 3등은 각각 1번, 3번, 4번 학생이지만 세 학생 모두 전국 대회에 참석 불가능합니다. 다음으로 4, 5, 6등은 각각 5번, 2번, 0번 학생이고 세 학생 모두 전국 대회에 참석 가능하므로 각각 1순위, 2순위, 3순위로 선발됩니다. 따라서 10000 × 5 + 100 × 2 + 0 = 50200을 return 합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rank: [Int], _ attendance: [Bool]) -> Int {
let selectable = rank.enumerated()
.filter { attendance[$0.offset] } // 참여 가능한 학생만 필터링
.sorted { $0.element < $1.element } // 등수 기준으로 정렬
guard selectable.count >= 3 else { return 0 } // 참여 가능한 학생이 3명 미만이면 0 반환
let (a, b, c) = (selectable[0].offset, selectable[1].offset, selectable[2].offset)
return 10000 * a + 100 * b + c
}
3. 정수 부분
실수 flo가 매개 변수로 주어질 때, flo의 정수 부분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0 ≤ flo ≤ 100
입출력 예
flo | result |
1.42 | 1 |
69.32 | 69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1.42의 정수 부분은 1입니다.
입출력 예 #2
- 69.32의 정수 부분은 69입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flo: Double) -> Int {
return Int(flo) // 실수를 정수형으로 변환하여 반환
}
4. 문자열 정수의 합
한 자리 정수로 이루어진 문자열 num_str이 주어질 때, 각 자리수의 합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3 ≤ num_str ≤ 100
입출력 예
num_str | result |
"123456789" | 45 |
"1000000" | 1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문자열 안의 모든 숫자를 더하면 45가 됩니다.
입출력 예 #2
- 문자열 안의 모든 숫자를 더하면 1이 됩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num_str: String) -> Int {
// 각 자리수를 정수로 변환 후 합산
return num_str.compactMap { $0.wholeNumberValue }.reduce(0, +)
}
5.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하기
숫자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n_str이 주어질 때, n_str을 정수로 변환하여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1 ≤ n_str ≤ 5
- n_str은 0부터 9까지의 정수 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n_str | result |
"10" | 10 |
"8542" | 8542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10"을 정수로 바꾸면 10입니다.
입출력 예 #2
- "8542"를 정수로 바꾸면 8542입니다.
제출 답안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n_str: String) -> Int {
return Int(n_str) ?? 0 //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 변환 실패 시 0 반환
}
'프로그래머스 기초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기초문제] Day 23 조건문 활용 (0) | 2025.03.18 |
---|---|
[프로그래머스 기초문제] Day 22 함수(메서드), 조건문 활용 (0) | 2025.03.17 |
[프로그래머스 기초문제] Day 20 함수(메서드) (0) | 2025.03.13 |
[프로그래머스 기초문제] Day 19 문자열, 리스트(배열) (0) | 2025.03.13 |
[프로그래머스 기초문제] Day 18 문자열 (0) | 2025.03.11 |